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문화시설

[대구 중구] 대구예술발전소 대구예술발전소 - 홈페이지 http://www.daeguartfactory.kr -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로22길 31-12대구예술발전소는 2008년 10월 ‘지역근대산업유산을 활용한 문화예술 창작벨트조성’ 계획의 정부시범사업으로 선정되어 추친되었다. 우리나라 담배산업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산업유산의 대표적인 공간으로 의미를 가지고 있는 연초제조창 별관창고를 리모델링하여 낙후된 구도심 지역에 예술공간을 조성함으로써 도시재생 효과는 물론, 실험적 예술창작 인프라 확충과 더불어 창의적 작가 양성기반을 구축할 수 있게 되었다. 현재 국내외 현대미술 전시회 등 다양한 전시 공연 행사를 즐길 수 있는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3-430-5677 - 쉬는날 매주 월요일 / 1월.. 더보기
[충청남도 공주시] 기독교박물관 기독교박물관 -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제민1길 18공주지역 3·1 운동의 시작지인 공주제일교회의 근대건물이다. 공주 기독교박물관 앞 건물에는 신홍식 목사님의 동상이 세워져 있다. 공주를 비롯한 주변 지역의 목회활동을 통해 충청도 초기 교회 형성에 공헌을 한 인물로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22인 중 기독교 대표였다. 이 건물은 본래 초가 건물이었으나, 1931년 지금의 모습으로 건립되어 영명학원과 영아관을 운영해 인재 양성과 사회적 활동에 힘썼다. 선교 초기 역사부터 현재까지의 자료를 내부 박물관을 통해 돌아볼 수 있다. 또한, 내부에는 우리나라 스테인드글라스의 개척자인 고 이남규 선생의 초기 작품을 감상할 수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41-853-7008 - 쉬는날 매주 일요일, 월요.. 더보기
[대구 중구] 대백프라자갤러리 대백프라자갤러리 - 홈페이지 대백프라자갤러리 http://www.debec.co.kr/contents/main/main.do -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명덕로 333 (대봉동)1971년 5월 대구백화점 본점 4층에 대구에서는 최초의 상업화랑으로 개관한 ‘대백갤러리’는 70년대 한국미술과 대구미술사에 있어 중요한 미술전람회를 유치 개최하고 대구미술문화의 중추적 역할을 수행해 왔다. 1993년 대백플라자점 개점과 함께 단일 전시공간으로는 대구 최대규모를 자랑하며 1993년 9월 15일에 개관했으며, 2004년 1월 새롭게 단장하여 재개관을 한 ‘대백플라자갤러리’는 지역 내 수준급 전문갤러리서, 기업이윤을 사회환원 취지로 백화점 고객 및 지역 주민들의 문화생활의 질을 높이고 예술과 근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 더보기
[충청남도 홍성군]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 - 홈페이지 https://www.hongseong.go.kr/leeungno - 주소 충청남도 홍성군 홍북면 이응노로 61-7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은 이응노가 탄생하고 유년을 보냈다는 충남 홍성군 홍북면 중계리의 낮은 산자락 끝에 자리 잡고 있다.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은 대지 면적 2만여㎡, 건축 면적 1천여㎡로 전시 홀, 북 카페, 다목적실 등 전시 시설을 중심으로 하는 공간과 초가로 지은 생가, 연밭, 산책로 등을 갖춘 기념관이자 미술관이다. 이응노 개인을 기리고자 마련된 이 생가기념관은 그 자신이 미술가였기에 기능면에서 전시와 수장 공간이 반드시 필요한 미술관의 성격이 한층 더 강하다. 이런 의미에서 ‘고암이응노생가기념관’은 기념관은 물론, 미술관의 측면에서 살펴보아야 할 것이다... 더보기
[대구 중구] 수창청춘맨숀 수창청춘맨숀 - 홈페이지 http://www.suchang.or.kr/ - 주소 대구광역시 중구 달성로22길 27지역의 골칫거리로만 여겨졌던 폐시설이 시민들과 함께 즐길 수 있는 문화·예술 공간으로 탈바꿈하였다. 대구시 중구 수창동에 위치한 수창청춘맨숀은 구 KT&G 연초제조창 직원들의 관사로 있던 아파트를 리노베이션 한 문화예술복합공간이다. 1976년부터 관사로 이용됐으나 1996년 폐쇄 이후 20년이 넘도록 버려져 있었다. 폐아파트 단지는 2016년 문체부의 문화 재생 사업에 선정되면서 전환점을 맞이한다. 낡은 건물의 외벽을 살려 아파트가 가진 50년의 세월을 보존하고, 정돈된 내부를 청년 작가들의 무대로 만들면서 옛것과 새것이 공존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재탄생하였다. 2년간의 개보수 후 2017년 1.. 더보기
[경기도 김포시] 김포독립운동기념관 김포독립운동기념관 - 홈페이지 https://www.fgy.or.kr - 주소 경기도 김포시 양촌읍 양곡2로30번길 46  ※ 소개 정보 - 규모 - 건축면적 1,297.91㎡- 연면적 1,956.86㎡ - 문의및안내 031-996-6270 - 쉬는날 매주 월요일 / 1월 1일/ 설‧추석 연휴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09:00~18:00 - 이용요금 무료 - 주차시설 가능 - 주차요금 유료- 최초 30분 600원- 초과시 10분당 300원- 일일요금 최대 7,000원(회차 10분 무료) ◎ 체험프로그램 ◎ 한국어 안내서비스◎ 주위 관광 정보⊙ 다이스키 스시 - 홈페이지 https://daisukisushi.modoo.at/ - 주소 경기도 김포시 양곡1로 21다이스.. 더보기
[전라북도 전주시] 동학혁명기념관 동학혁명기념관 - 홈페이지 http://tour.jeonju.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전주시 완산구 은행로 34 (풍남동3가)동학혁명 기념관은 동학혁명 100주년 기념사업으로 숭고한 혁명정신을 기리기 위해 세워진 기념관으로 상설전시장과 기념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면적 270평 규모에 1층에는 좌석 170석의 강당이 마련되어 있고 2층에는 전시실, 3층에는 화실로 이루어져 있다. 천도교 전주교구에서 개관한 전시실로 혁명 과정을 볼 수 있는 당시의 사진 전시(무료) 및 동학혁명 서적 등을 판매하고 있으며 소장물로는 동학혁명 과정의 사진, 동경대전(東經大全)·용담유사(龍潭遺詞)와 최시형(崔時亨)의 동상 등 100여 종에 이른다. 그 밖의 주요 시설로는 소극장, 전시장 2개, 영상 아트홀 등이 갖춰져.. 더보기
[서울 성북구]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 성신여자대학교박물관 - 홈페이지 www.sungshin.ac.kr/museum - 주소 서울특별시 성북구 보문로34다길 2 (돈암동)성신여자대학교 박물관은 1966년 생활과학박물관의 설립을 시작으로 지금의 문화예술의 향유공간으로 성장·발전하였다. 우리 문화유산을 수집, 보존, 전시하는 기능과 함께 선인들의 생활상과 문화예술의 면면을 밝혀내기 위해 연구 및 교육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문화의 전당이다. 대학 안에 3개의 박물관과 운정기념관, 아트갤러리 등 문화적 감성을 자극하는 공간에서는 매년 다양한 전시와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지역주민과 교직원 및 학생들에게 수준 높은 문화감상과 학습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2-920-7715 - 쉬는날 매주 토요..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