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동구

[광주 동구] 광주 전통문화관 광주 전통문화관 - 홈페이지 http://www.gtcc.or.kr/ -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의재로 222전통문화관은 남도의 자랑스러운 전통문화를 보존 및 전수하는 법고창신(法古創新)의 공간이자 함께 만들고 배우는 창작공방(創作工房)이다. 무등산 국립공원 초입에 위치한 전통문화관은 2012년 전통한옥 무송원(撫松院)을 이설 및 복원해 조성하고, 무형문화재 작품전시관과 전수실 및 서석당, 입석당, 너덜마당 등의 문화공간이 있다. 시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주말상설공연인 토요상설공연과 무등풍류뎐, 무형문화재 대시 민 교육인 전통문화예술강좌, 내외국인 관광객 및 청소년을 위한 전통문화예술체험, 공예 및 전통음식 체험 등의 친환경적 프로그램, 그리고 무등산 문화자원을 기반으로 한 특별기획프로그램과 무등산권 활.. 더보기
[부산 동구] 조선통신사역사관 조선통신사역사관 - 홈페이지 http://www.tongsinsa.com/ - 주소 부산광역시 동구 자성로 99 (범일동)조선에서 일본 막부에 파견한 외교사절을 조선통신사라고 한다. ‘통신(通信)’이란 ‘신의를 나눈다’는 의미이다. 조선통신사를 통한 교류는 신뢰를 기반으로 한 조선과 일본의 평화와 선린우호를 상징한다고 할 수 있다. 조선통신사역사관은 임진왜란 이후 1607년부터 1811년까지 12차례 일본으로 파견된 통신사에 대하여 쉽고 재미있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역사교육의 현장이다. 최첨단 멀티미디어 기술을 활용한 다양한 전시 콘텐츠, 알찬 프로그램 등으로 역사와 소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 소개 정보 - 규모 2층 - 문의및안내 051-631-0858 - 쉬는날 매주 월요일 (.. 더보기
[광주 동구] 광주극장 광주극장 -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충장로46번길 10 (충장로5가)광주극장은 1935년에 시작하여 지금까지 운영하고 있는 광주의 예술&독립영화관이다. 국내에 유일하게 남아 있는 스크린이 하나뿐인 단관 극장이다. 광주극장은 일본인 관주 구로세 도요다가 일본인의 거리였던 충장로 1가에 세운 제국관과 달리 포목, 고무신 그리고 미곡 등 생활 필수 품목이 판매되던 충장로 4가와 5가의 조선인 거리에 자리를 잡았다. 조선인을 위한 판소리와 창극으로 구성되었으나 조선인 전용으로 운영하기엔 지역 흥행 시장 규모가 작아 일본 영화사 작품도 상영했다. 광주극장의 등장은 일제강점기의 조선인의 민족주의 열망과 영화 산업의 확대에 따른 결과물이었다. 현재는 독립영화와 예술영화를 상영하는 예술영화전용관으로 운영되고 있다. ※.. 더보기
[대구 동구] 여행자의 책 여행자의 책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_traveler_book - 주소 대구광역시 동구 방천로2길 3 (불로동)여행자의 책은 이름에 걸맞게 대구공항 앞에 있다. ‘삶이 곧 여행이고, 사람이 바로 책’이라는 생각으로 서점을 열었다. 책장을 펼치는 순간 시작되는 인문여행을 기획함으로써 책 읽는 삶을 선사 중이다. 덕분에 바로 옆 금호강변을 산책하고 동네를 탐방하는 서점여행자들이 꾸준히 늘고 있다. 멀리서 찾은 이들이 오래 쉬어갈 수 있도록 곳곳에 의자가 있으며 책과의 하룻밤을 꿈꾸는 이들이 묵어갈 방이 언제나 마련되어 있다. 1층은 서점으로 2층은 북스테이로 운영 중이며, 느린카페와 전시공간이 함께 있다. 대구사람 열두 명을 집중조명한 코너와 36인 작가의 방 책장이 서점.. 더보기
[광주 동구] 리아트센터 리아트센터 - 홈페이지 공식 네이버블로그 https://blog.naver.com/leeart8386공식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leeartcenter -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로85번길 20-1 (궁동) 1층리아트센터는 광주 동구에 자리한 복합문화예술공간으로, 1층부터 5층까지 각기 다른 테마의 전시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획 및 초대전이 열리는 현대미술 전시관, 지역 대표 작가들의 작품을 소개하는 공간, 상설 소장품과 위탁판매 작품이 전시된 세미나실, 한국 고미술 유물이 전시된 고미술관, 보이차와 자사호 전시까지 다양한 예술과 문화를 아우른다. 상시 무료 관람이 가능해 누구나 편하게 예술을 즐길 수 있는 열린 공간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62-22.. 더보기
[부산 동구] 북두칠성도서관 북두칠성도서관 - 홈페이지 http://book7library.co.kr - 주소 부산광역시 동구 충장대로 160 (초량동) 협성마리나G7 B동 1층북두칠성도서관은 별자리 모양을 모티브로 설계된 일곱 개의 원형 서가와 계단 형태의 서가가 있는 책오름광장이 있다. 도서관이 지향하는 일곱 개의 주제를 담은 테마서가와 매월 다른 주제로 다양한 책들을 만날 수 있는 달빛서가로 구성되어 있으며, 문학, 예술, 기술과학, 자연과학, 종교, 언어, 사회과학, 철학, 역사, 여행 등으로 분류된 서가에는 총 2만여 권의 도서가 비치되어 있으며, 창의적인 공간에서 깊이 있는 독서 경험과 문화와 예술을 사랑하는 시민들이 함께 할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북두칠성도서관은 협성종합건설 정철원 사장의 지역 사랑.. 더보기
[광주 동구] 광주 의재미술관 광주 의재미술관 - 홈페이지 공식 홈페이지 https://www.uijae.org공식 블로그 https://blog.naver.com/uijae-museum -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증심사길 155 (운림동)의재미술관은 20세기 남종문인화의 대가 의재 허백련(1891~1977)의 화업과 정신을 계승하고자 건립된 미술관이다. 2001년 건립 당시에도 천 명이 넘는 광주시민들의 발의가 있었던 광주의 대표적인 문화공간이다. 의재 허백련 선생의 산수화와 시 등 여러 작품을 관람할 수 있으며 서예가 장영철과 같이 다른 예술가들의 작품을 통해서 허백련 선생의 명성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전시와 교류, 교육 등 각종 행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작품의 보존과 전시뿐 아니라 우리 그림의 조사·연구와 교육을 병행하고 있다.. 더보기
[광주 동구] 4·19 민주혁명역사관 4·19 민주혁명역사관 - 홈페이지 오매광주 광주관광 https://tour.gwangju.go.kr - 주소 광주광역시 동구 중앙로 302 광주고등학교4·19 혁명 정신 계승을 위해 광주고등학교에 지어진 역사 전시관이다. 2019년 3월 20일 개관했으며, 역사관 내부엔 당시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는 생생한 사진들과 4·19 혁명 전개 과정들이 상세히 전시돼 있고, 학생들이 직접 참여할 수 있는 체험실도 조성되어 있다. 혁명에 참여한 인물들과 함께 사진을 찍을 수 있는 포토존, 당시의 함성 소리를 들을 수 있는 코너와 함성 구호를 외칠 수 있는 함성 체험실, 4·19 인물들을 알아볼 수 있는 퀴즈코너와 애국 학도 선서 체험 코너 등이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62-225-0419 - 쉬..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