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전체 글

[서울 종로구] 인미공(구 인사미술공간) 인미공(구 인사미술공간) - 홈페이지 https://www.arko.or.kr/insa/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길 89 (원서동)2000년도에 개관하여 창의적 미술 언어의 생산자들을 위한 대안적 성격의 공공기관으로 자리매김한 인미공(구 인사미술공간)은 여러 차례 운영 체제의 변화를 겪으면서, 한국 동시대 미술 현장의 역량 있는 신진 작가와 기획자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전시를 기획해 왔다. 현재 아르코미술관이 통합 관리하는 인미공은 2020년도에 20주년을 맞아 다학제적 예술활동을 지원하는 인미공 창작소와 신진 기획자·작가를 위한 워크샵 등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편하였다.아르코미술관과 인미공은 2021년도 이후 유용·포용·협업·공유의 새로운 운영 전략 하에 연구·창작·전시·교류 활동이 .. 더보기
[서울 종로구] 본화랑 본화랑 - 홈페이지 http://www.bongallery.com/http://www.bongallery.com/ -->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 299 지하1층본화랑은 1988년 현 인사동 문화거리의 관훈동에서 개관하였다. 원로 & 중진 작가를 중심으로 원숙미 있는 작품들을 추구하는 한편, 신진작가의 발굴을 통해 좀 더 젊은 모습의 현대적이고 감각적인 모습으로 대중에게 다가가고자 한다. 유명 작가의 기획 전시와 다양한 이야기와 재미가 있는 테마전시와 꿈과 사랑이 담긴 작은 만남전 등 활발한 활동을 하며 엄선된 작가 선정과 작품 관리, 고객서비스를 통해 정통 화랑으로써 그 역할과 기능을 다하고 있다. 또한 신진작가, 지방의 작가들을 발굴하여 소개하고 각 미술단체의 단체전 등을 지원하면서 한국.. 더보기
[전라북도 정읍시] 정읍사국악원 정읍사국악원 - 홈페이지 http://www.jeongeup.go.kr/ - 주소 전북특별자치도 정읍시 시기4길 23 (시기동)정읍의 국악은 조선후기 판소리의 명창 전도성과 국내 8대 명창중 성대모사로 이름을 떨쳤던 신영채와 김초산, 학이 춤을 추듯 가락과 멋이 빼어났던 북의 명인 신달용, 곱사춤의 1인자 공옥진, 인간문화재 김소희 등 많은 걸출을 탄생시킨 문화의 고장이다. 이에 걸맞춰 정읍시에서는 정읍국악원을 건립해 전통국악교육(판소리, 가야금, 대금, 무용)에 힘쓰고 있다.  ※ 소개 정보 - 규모 대지 7,956㎡ / 연면적 1,086.2㎡ - 문의및안내 063-539-6413 - 쉬는날 토요일 / 일요일 / 법정공휴일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09:00~18:.. 더보기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국악당 대가야국악당 - 주소 경상북도 고령군 대가야읍 지산길 7-8고령군 고령읍 지산리에 위치하고 있는 대가야국악당은 우리나라 국악의 전통계승을 위해 설립되었다. 대가야국악당에서는 국악을 계승하기 위해 다양한 문화행사를 진행하고 있는데 그 중 대표적인 문화행사가 바로 전국우륵가야금 경연대회이다. 고령은 가야금을 만든 우륵을 기리는 우릭기념탑 등 우륵선생을 기리는 문화 및 행사를 많이 개최하고 있다. 대가야국악당은 총 460석의 객석을 보유하고 있으며, 강당, 연습실, 공연장, 전시실 등의 시설을 구비하여 국악뿐만 아니라 지역의 문화 행사와 지역민에 대한 문화 체험에도 앞장서고 있다. 고령군과 우륵의 관계를 설명하자면, 우륵은 박연, 왕산악과 함께 우리나라 3대 악성으로 불리우는 사람으로 가야 말기 가실왕의 주문.. 더보기
[서울 강동구] 강동아트센터 강동아트센터 - 홈페이지 https://www.gdfac.or.kr/https://blog.naver.com/gangdongfachttps://www.instagram.com/gdfac_official/ - 주소 서울특별시 강동구 동남로 870 (상일동)강동아트센터는 강동구 명일근린공원 내에 위치한 전문 공연장으로 자연공원과 문화공간이 경계없이 조우하는 사용자 중심의 편안한 구조의 공연장이다. 객석수 850석 규모의 대극장(한강)은 오페라, 발레, 뮤지컬, 콘서트 등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위한 최첨단 시설을 갖추고 있다. 전위적이고 창조적인 공연이 가능한 250석 규모의 소극장(드림)은 첨단 메커니즘을 갖추고 있으며, 연출자의 의도에 따라 극장의 운영형태를 자유롭게 바꿀 수 있는 실험적인 극장이다. 또한.. 더보기
[서울 종로구] PKM갤러리 PKM갤러리 - 홈페이지 https://www.pkmgallery.comhttps://www.instagram.com/pkmgallery/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삼청로7길 40 (삼청동)2001년 문을 연 PKM 갤러리는 현대미술의 흐름을 첨예하게 담아내는 국내외 유수 작가들의 전시 프로그램을 일관되게 운영해 온 곳이다. 또한 2004년 한국 화랑 최초로 프리즈 아트 페어에 초청되어 한국 현대미술이 세계 미술시장의 중심에 진출하는 데 주요한 역할을 했다. 이후 아트 바젤, 피악, 아모리 쇼, 엑스포 시카고 등 명망 있는 국제 아트 페어에 꾸준히 진출함으로써 근·현대를 망라하는 수준 높은 국내외 작가의 작품들을 글로벌 컬렉터와 미술관계자들에게 소개하고, 한국 미술이 국제 무대에서 탁립하는 데 이바지했.. 더보기
[서울 종로구] JCC아트센터 JCC아트센터 - 홈페이지 http://www.jeijcc.org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35길 29 (혜화동)교육기업인 재능교육이 2015년 개관한 JCC아트센터는 교육과 문화의 소통 공간이다. 음악 공연과 전시를 경험할 수 있는 아트센터와 강연, 토론, 퍼포먼스, 연구 등의 창의적 활동 공간을 위한 크리에이티브센터로 이루어져 있다. 건물은 세계적 건축가 안도 다다오가 ‘꿈과 개성, 철학이 담긴 100년 건물’을 만들어 보자는 뜻으로 건립하였다고 한다. JCC아트센터는 교육과 문화가 만나는 정서함양의 장(場)일 뿐만 아니라 도시민들에게 정신적 위안과 예술적 감수성을 충전하는 소통의 명소가 될 것이다.  ※ 소개 정보 - 관람소요시간 행사별 상이 - 문의및안내 02-2138-7373 - 쉬는.. 더보기
[서울 마포구] 한국영상자료원 한국영상자료원 - 홈페이지 https://www.koreafilm.or.kr/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월드컵북로 400 (상암동)1974년 한국필름보관소에서 출발한 한국영상자료원은 문화체육관광부 산하 공공기관으로 2007년 5월 상암 DMC 단지에 있다. 영화와 관련된 모든 자료를 수집, 보존, 서비스하고 있으며 누구나 쉽고 즐겁게 영상문화를 즐길 수 있도록 다양한 대민시설을 운영하고 있다. 시네마테크KOFA에서는 국내외 고전, 예술, 독립영화를 상영하고 있으며, 한국영화박물관에서는 한국영화의 지난 역사를 직접 체험할 수 있다. 영상도서관에서는 국내 최대 규모의 영화 자료들을 열람할 수 있으며, 그 외 연구발간사업, 찾아가는 영화관을 진행하고 있으며 한국고전영화 VOD 등 다양한 온라인 서비스를 운영..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