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중구

[울산 중구] 중구문화의전당 중구문화의전당 - 홈페이지 중구문화의전당 https://artscenter.junggu.ulsan.kr/ - 주소 울산광역시 중구 종가로 405 (성안동)울산의 진산 함월산 자락의 중구혁신도시에 위치한 문화의전당은 울산시민의 다양한 문화 수요를 담당하고 있다. 지하 1층, 지상 3층 규모로 2014년 개관하였으며 지하 1층은 소공연장 겸 리허설룸인 어울마루, 지상 1층은 별빛마루, 소리마루, 지상 2층은 함월홀, 달빛마루, 분장실이 있다. 지상 3층은 문화센터, 레스토랑, 하늘마당이다. 지상 2층의 함월홀은 499석 규모의 대공연장으로 외부와 분리된 이중구조, 전 객석 개별 냉난방, 전 대역 음향 가변장치, 공연에 맞는 자유로운 무대전환, 전 좌석 엇갈림배치로 무대중앙을 조망할 수 있는 특별한 구조를 갖.. 더보기
[대전 중구] 테미오래 테미오래 - 홈페이지 http://temiorae.com/ - 주소 대전광역시 중구 보문로205번길 13테미오래는 충청남도지사 공관을 포함하여 공무원 관사로 사용되었던 건물이 밀집되어 있는 대전광역시의 지역이다. 관사란 지방의 행정 사무를 보던 건물을 뜻하며 과거에는 관사촌으로 불렸고 2018년 공모를 통해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테미오래에서는 1930년대에 지어진 관사들을 중심으로 1970년대에 추가로 지어진 관사들과 함께 근대와 현대가 공존하는 역사와 문화의 공간으로써 다양한 건축양식을 볼 수 있는 곳이다. 옛 충남도지사 관사촌의 새 이름인 테미오래는 시민공모를 통해 정해졌으며, 테미라는 지명과 골목에 대문을 마주하는 집이 몇 채 있는 마을을 뜻하는 오래라는 뜻이 합쳐진 순우리말이다. 또한 테미.. 더보기
[울산 중구] 울산시립미술관 울산시립미술관 - 홈페이지 울산시립미술관 https://www.ulsan.go.kr - 주소 울산광역시 중구 미술관길 72 (북정동)울산시민의 문화 욕구 충족을 위해 건립된 시립미술관으로 지역문화 진흥과 문화예술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실험적이고 창의적인 예술을 공유하고 체험하는 공간이다. 2022년 개관한 울신시립미술관은 광역시 승격 25년 만에 울산시에 처음 생긴 공공미술관으로 개관을 하자마자 관객들의 뜨거운 반응을 받고 있는 문화시설이다. 연면적 1만 2770㎡, 지하 3층, 지상 2층 규모의 울산시립미술관은 한국 산업수도인 울산 지역의 특성을 살렸다. 자연과 기술, 산업이 조화를 이룬 울산처럼 예술로 삶의 질을 한층 올리겠다는 게 울산시의 차별화 전략이다. 미술관 내 3개의 전시실이 있으며.. 더보기
[서울 중구] 안중근의사기념관 안중근의사기념관 - 홈페이지 https://ahnjunggeun.or.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소월로 91 (남대문로5가)안중근은 개항 이후 나라가 일제의 침략으로 참담하게 국권을 피탈당하고 있을 때 불타는 애국심으로 침략의 원흉 이토 히로부미를 처단하여 조국이 나아가야 할 길을 밝힌 민족의 영웅이다. 일제 식민 지배의 상징이었던 남산 조선신궁 터에 1970년 개관하고 2010년 새로이 건립되었다. 안중근의사기념관은 안중근의 숭고한 희생정신과 평화 사상을 널리 선양하여 국민의 나라 사랑 정신을 함양하고 인류 평화에 이바지하는데 그 소임이 있다. 안중근의사기념관은 단지 동맹을 상징하는 12개의 유리 기둥을 묶은 형태의 건물로 지하 2층, 지상 2층으로 구성되었다. 전시실에는 그의 출생부터 순국에 이르.. 더보기
[울산 중구] 외솔기념관 외솔기념관 - 홈페이지 https://www.junggu.ulsan.kr/oesol/ - 주소 울산광역시 중구 병영12길 15 (동동)외솔기념관은 일제강점기 우리말과 글을 지킨 독립운동가이자 평생 한글 보급과 정보화를 위해 한길을 걸은 한글학자인 외솔 최현배의 업적을 기리고 그의 삶과 한글에 대한 정신을 기리고자 개관하였다. 외솔 최현배는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마련하고 표준말 정립, 우리말 사전 편찬 등에 심혈을 기울였다. 또한 문교부 편수 국장을 맡으며 초중등 교과서의 문법 체계, 가로 쓰기 체계 확립 등 대한민국의 국어정책의 초석을 다지고 한글전용 운동에 헌신하는 등 훈민정음이 오늘날의 한글이 되기까지 외솔 최현배의 갖은 노력이 있었다. 외솔기념관은 평생 한글을 지킨 외솔 최현배의 저서와 유품 등.. 더보기
[인천 중구] 잇다스페이스1 갤러리 잇다스페이스1 갤러리 - 전화번호 010-5786-07771920년대 소금 창고로 첫 숨을 텄다. 일제강점기 때 일본은 화약을 제조하는 원료로 쓰기 위해 소래에서 소금을 만들었다. 아픈 역사가 깃든 건물은 1940년대 일본식 한증막으로 잇고 10년 후 서점 ‘문조사’에 자리를 내어주었다. 그리고 동네 사람의 기억에는 헌책방 ‘동양서림’으로 남아있다. 긴 세월 동안 젊은 지성인들과 소년 소녀들이 이 안에서 지문의 때가 스민 책을 넘기며 추억 속으로 사라져 폐허에 움튼, 오동나무 한 그루 책방이 문을 닫고 20여 년간 숨죽이고 있던 공간은 100여 년 시간과 공간, 사람과 사람, 자연과 사람, 문화와 사람을 ‘잇는’ 문화재생 공간으로 전시와 공연 실험적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 소개 정보 - 관람소요시.. 더보기
[부산 중구] 우리글방 북카페 우리글방 북카페 - 주소 부산광역시 중구 대청로 63 (보수동1가)부산에는 헌책들을 판매하는 유명한 보수동 책방골목이 있다. 그 책방골목에 자리 잡은 우리글방은 보수동 책방을 개조해 만든 북카페이다. 우리글방에는 다양한 종류의 책들과 포스터 등을 만날 수 있으며, 책을 보면서 고즈넉한 추억을 즐길 수 있는 힐링 공간이다. 1층에는 계산대, 테이블, 헌책들이 진열되어 있고, 2층으로 올라가는 계단과 통로 곳곳에도 책이 빼곡히 쌓여 있다. 우리글방은 외관이 독특한 형태로 꾸며져 있어 보수동을 들어서면 바로 찾을 수 있고, 옆 건물에는 책방골목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는 보수동 책방골목 문화관이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1-241-3753 - 쉬는날 설·추석 당일 - 이용시간 10:00~19:.. 더보기
[서울 중구] 국토발전전시관 국토발전전시관 - 홈페이지 https://www.molit.go.kr/molitum/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정동길 18 (정동)국토교통부가 운영하는 국토발전전시관은 대한민국 국토 발전의 발자취를 알아볼 수 있는 전시관이다. 전시실은 국토세움실, 국토누리실, 국토동행실로 구성되어 있다. 국토세움실은 대한민국의 국토개발 계획과 정책 발전사를 시기별로 전시했으며, 국토누리실은 교통을 주제로 대중교통, 도로, 철도 등 국가 대형 인프라 분야의 역사와 2000년부터 2020년까지의 국토의 균형적인 발전상을 목표로 시민들이 공감하는 정책과 소장품을 소개하고 있다. 국토동행실에서는 세계 속의 대한민국 건설역사와 우리의 기술로 세운 세계의 랜드마크를 살펴볼 수 있다. 또한, 우리의 기술로 세운 세계의 랜드마크를 ..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