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장품현황

[전라남도 고흥군] 남포미술관 남포미술관 - 홈페이지 http://nampoart.co.kr/ - 주소 전라남도 고흥군 영남면 팔영로 1081남포미술관은 학교법인 팔영학원 영남중학교의 폐교된 학교건물을 리모델링하여 2005년 2월 23일 개관한 전남 제1호 등록 사립미술관이다. 4개의 전시장을 비롯하여 공연장, 창작교육실을 갖추고 매년 다양한 장르의 기획전시와 교육프로그램, 미술관 음악회를 활발하게 운영하고 있으며, 3천 여 평 규모의 미술관 정원은 300여 종의 야생화를 비롯한 수목과 수생 식물들이 자라고 있어 사계절 내내 관람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팔영산 자락 아래 수려한 자연경관 속에 자리한 아름다운 미술관으로 널리 알려진 남포미술관은 최근 ‘남도 한바퀴’ 투어 코스에 선정되면서 지역주민 뿐만 아니라 전국 단위.. 더보기
[충청북도 청주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 - 홈페이지 http://museum.knue.ac.kr - 주소 충청북도 청주시 흥덕구 강내면 태성탑연로 250한국 교육의 요람인 한국교원대학교의 특성을 살린 교육 분야 특화 박물관이다. 2010년 11월 16일 개관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박물관은 한국 교육에 관한 유물을 전문적으로 수집, 정리, 보존할 뿐만 아니라, 우리 교육의 발자취를 생생하게 보고 느낄 수 있도록 다양한 전시와 체험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다. 한국 교육사실, 교육 테마실, 학교 사실, 기획 전시실로 이루어진 전시실을 통해 한국 교육의 역사를 살펴볼 수 있고, 교육 체험실을 통해 부모 세대가 경험한 과거의 교육을 직접 체험해 볼 수 있는 이곳은 학생과 교사, 지역주민 등을 대상으로 하는 다양한 사회교육 프로그.. 더보기
[경기도 양평군] 구하우스미술관 구하우스미술관 - 홈페이지 http://koohouse.org - 주소 경기도 양평군 서종면 무내미길 49-12구하우스는 예술과 디자인이 주는 즐거움을 생활공간 속에서 만나볼 수 있도록 집을 콘셉트로 한 새로운 개념의 미술관이다. 거실, 서재 등 생활공간으로 명명된 열 개의 방에서 회화와 조각, 사진과 영상, 다양한 디자인 작품 등 한 개인이 예술에 대한 열정과 심미안으로 수집한 400여 점의 컨템퍼러리 아트 컬렉션이 펼쳐진다. 세계 유수의 작가와 디자이너의 작품으로 구성된 상설 전시 외에 매년 3-4회의 기획전과 신규 소장 및 주제에 따라 다채로운 작품을 만나볼 수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1-774-7460 - 쉬는날 매주 월요일~화요일 (단, 공휴일인 경우는 개관) / 1월 1일 .. 더보기
[서울 용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영양자수박물관 숙명여자대학교 정영양자수박물관 - 홈페이지 https://home.sookmyung.ac.kr/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길 99 (청파동3가) 르네상스플라자 1층숙명여자대학교 정영양자수박물관은 자수 및 직물 예술의 평가와 인식을 높이기 위해 전시관, 도서관, 염색보존처리실, 강의실, 정보센터 등의 전시·교육·연구시설을 갖추고 2004년 5월에 개관하였다. 지리적 특징을 나타내는 다양한 자수 및 직물과 동아시아의 장식예술에 초점을 맞춘 동아시아의 복식을 소장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예술의 형태로서 자수의 위치를 강조하고 기술, 사회, 문화적 환경 속에서 발생되는 자수직물의 고찰을 장려하는 것과 교육센터로서 자수 및 직물예술의 연구를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소개 정보 - 문의.. 더보기
[서울 동대문구] 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 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 - 홈페이지 https://kmedi.ddm.go.kr -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약령중앙로 26 (제기동)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은 서울특별시 동대문구에서 2006년 9월에 설립한 공립박물관이다. 조선초기에 가난하고 병든 백성들을 돌보던 구휼기관인 보제원이 있던 유서 깊은 곳이다. 현재는 우리나라 최대의 한약유통 중심지인 서울약령시에 자리하고 있다.2017년 10월 27일 서울약령시한의약박물관은 서울한방진흥센터 2층으로 이전하여 전통 한방의 우수성을 홍보하고 다양한 프로그램 등을 개발하여 우리나라의 대표적 한방문화공간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2-969-9241 - 쉬는날 1월 1일 / 설·추석 - 이용시간 [하절기(3월~10월)] 10:00~18:0.. 더보기
[서울 동대문구]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 - 홈페이지 http://museum.khu.ac.kr -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경희대로 26 (회기동)경희대학교 중앙박물관은 1956년 개관한 이래 고고역사민속 중심의 제1종 종합 박물관으로서 학술, 교육, 전시, 문화재 지표 및 발굴조사 등 다양한 활동을 통하여 대학 문화를 선도하고 있다. 박물관 전시실은 고고역사실, 무속실·시베리아실 , 옹관실, 중앙전시실, 기획전시실, IAUP기념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중앙박물관을 방문하면 가장 먼저 중앙 전시실을 접하게 된다. 고고역사실은 선사실, 삼국실, 금관실, 고려시대실, 도자기실, 신라실, 와당실로 구분되어 있으며, 구석기시대부터 삼국시대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무속실은 무속 관련 도구와 무신도들을 전시해 두.. 더보기
[서울 종로구] 노화랑 노화랑 - 홈페이지 http://www.rhogallery.com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인사동길 54 (관훈동)노화랑은 1977년 서울 인사동에 개관한 이래, 한국미술시장의 정립과 발전, 한국미술문화의 형성과 확대를 위해 노력해 왔다. 개관기념전 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역량 있는 전시를 개최하고 있다. 특히 한국 근·현대미술을 주도한 대표적인 작가 변관식, 이상범, 박수근, 이중섭, 김환기, 도상봉, 오지호 전을 비롯해 박서보, 이강소, 이왈종, 한만영, 이석주, 오치균 작가들의 전시를 기획하였다. 2000년대에 들어서는 김덕기, 김태호, 윤병락, 최영욱 등 한국 현대미술에서 주목해야 할 작가들의 전시를 개최했으며, 최근에는 픽셀킴, 잇은, 방앤리 등 젊은 작가들을 소개하고 있다. ※ 소개 정보 .. 더보기
[서울 마포구] 이한열기념관 이한열기념관 - 홈페이지 http://www.leememorial.or.kr -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신촌로12나길 26 (노고산동)이한열기념관은 이한열 열사의 유물이 보존·복원될 수 있도록 열사의 어머니가 국가로부터 받은 배상금과 시민 성금으로 2004년에 세워졌으며, 2014년 사립박물관으로 새롭게 개관한 곳이다. 이한열 열사의 유품을 비롯한 1987년 유월 항쟁의 기록을 보존하고, 연구하며, 전시를 통해 민주주의의 역사를 교육하는 박물관이다. 이한열 기념관에는 최병수 작가의 꿈 솟대가 옥상에 세워져 있으며 화단 담벼락에는 김야천 작가의 벽화가, 전시실 입구에는 이경복 작가의 모자이크 벽화가 관람객을 맞이한다. 전시장 3층과 4층을 이어주는 벽면에는 장례식 행렬을 이끌었던 영정 그림이 있으며, 4층..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