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소장품현황

[대전 중구] 대전학생교육문화원 대전학생교육문화원 - 홈페이지 http://dsecc.djsch.kr/djsecc/main.do - 주소 대전광역시 중구 동서대로 1360 (목동)대전학생교육문화원은 지식·정보제공 및 교육·문화의 장으로 지역주민의 지적 수준 향상과 건전한 시민문화공간으로의 역할과 더불어 대전광역시교육청으로부터 평생학습관으로 지정되어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과 대전지역 모든 평생교육기관과 연계 협력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평생교육기관으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첨단 전자정보 시대를 대비하여 멀티미디어, 학술논문 DB 검색 등 디지털 콘텐츠의 확충으로 21세기 정보화사회를 선도하는 정보화 중심지로의 기능과 각종 부속 시설을 통하여 미래를 함께 열어나가는 문화 체육활동 공간의 장으로서 그 역할을 다하고자 하고 있다. 대전학생교.. 더보기
[부산 동래구]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 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 - 주소 부산광역시 동래구 충렬대로 지하223 (수안동)동래읍성 임진왜란 역사관은 2005년 수안역 건설 현장에서 임진왜란 당시 해자(성벽 방어시설)가 발견되면서 발굴조사를 하여, 임진왜란 당시 희생된 인골, 각종 무기류 등이 발굴되었고, 현장의 역사를 기리기 위하여 수안역 역사 내 박물관을 조성하여 유물을 전시 하였다.역사관에는 동래부 순절도, 철갑, 투구, 칼, 활, 화살촉, 낫 등 발굴된 유물을 복제 및 복원한 유물 23종 546점을 보관 및 전시 중이며, 동래읍성 모형, 영상실, 출토유물 전시실, 해자모형 전시실, 해자 단면도 전시실, 트릭아트 포토존, VR체험존 등을 운영하고 있다.운영시간 내 문화관광해설사가 상주하며, 해설 요청 시 해설사의 설명을 들을 수 있다.  ※.. 더보기
[서울 중구]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 - 홈페이지 https://www.seosomun.org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칠패로 5 (의주로2가)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은 순교한 천주교인들을 기리는 곳으로 2019년 6월 개관하였다. 천주교 박해와 관련한 전시와 예술 작품을 만나 볼 수 있고 매주 목요일에 서소문 역사탐방 해설을 진행하고 있어 서소문 성지와 천주교의 역사에 관한 상세한 설명을 들을 수 있다. 서소문성지역사박물관은 독특하게 지하에 자리하고 있으며, 지하 2층에서는 상설 전시를 만나 볼 수 있다. 계단을 따라 지하 3층으로 내려오면 하늘광장을 만나게 된다. 하늘광장은 경건함을 가득 담은 공간으로 절제된 사각형의 공간으로 이루어져 있다. 하늘, 빛, 직선만이 존재하는 이 공간은 천주교 박해의 먹먹함과 슬픔이 그대로 담.. 더보기
[경기도 이천시] 이천시립박물관 이천시립박물관 - 홈페이지 www.artic.or.kr - 주소 경기도 이천시 관고동이천시립박물관은 설봉공원 내에 위치한 시립박물관이다. 1997년부터 이천농업박물관 건립계획을 수립하여 지역 내 농기구와 각종 생활용구를 수집하였고, 2000년 11월 이천향토민속박물관으로 명칭을 변경하면서 2001년 12월 건물을 완공하였다. 그 후 2002년 5월 24일에 이천시립박물관으로 재개관한 후 2013년 리모델링 재개관, 2021년 신축건물 및 구관 도자문화역사실 재개관을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다. 이천시립박물관은 신관과 구관으로 나뉘는데 신관을 통해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구관의 외관은 창경궁의 외관을 본따 지어 마치 고궁에 온 듯한 느낌을 준다.상설전시실 중 신관의 역사문화실과 근현대문화실은 선사시대부터 근현대.. 더보기
[서울 중구] 배재학당역사박물관 배재학당역사박물관 - 홈페이지 http://appenzeller.pcu.ac.kr -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로11길 19 (정동)배재학당역사박물관은 교육, 종교, 정치, 사회,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 근대사를 새롭게 조명할 자료와 담론이 모여드는 공간이다. 배재학당은 1885년 미국인 선교사 아펜젤러가 세운 한국 최초의 서양식 근대 교육기관이다. 고종황제는 1887년 [유용한 인재를 기르고 배우는 집]이라는 뜻으로 이곳에 배재학당이란 이름을 하사하였다. 2008년 배재학당역사박물관으로 새롭게 태어난 배재학당 동관은 1916년 준공된 유서 깊은 근대 건축물로, 아펜젤러가 초기부터 영어 수업을 비롯한 전인 교육을 실천했던 공간이자 김소월, 주시경, 나도향 등 수많은 근대 지식인들을 배출한 신교육.. 더보기
[인천 연수구] 한국가스공사 가스과학관 한국가스공사 가스과학관 - 주소 인천광역시 연수구 인천신항대로 960 (송도동)한국가스공사의 부속 시설로 인천 연수구 인천신항 대로에 조성된 천연가스와 에너지 체험학습 과학관이다. 면적 6,096m²에 지하 1층, 지상 2층 규모로 높이 88m의 크린타워가 이색적인 광경을 연출한다. 옥외 조형물은 과학관장 외 4종, 실내 전시물은 인류 에너지 외 22개 코너가 운영되고 있으며, 만들기 체험관, 에너지 어드벤처, 3D 입체영상관을 통한 체험을 할 수 있다. 100% 사전 예약제로 운영되며, 시작부터 끝까지 홍보 요원의 설명 안내를 받으며 관람할 수 있다.  ※ 소개 정보 - 관람소요시간 90분 - 문의및안내 032-822-4492 - 쉬는날 매주 토요일, 일요일 / 공휴일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유.. 더보기
[경상남도 창녕군] 박진전쟁기념관 박진전쟁기념관 - 홈페이지 https://www.cng.go.kr/tour.webhttps://www.cng.go.kr/tour.web - 주소 경상남도 창녕군 남지읍 월상길 27창녕 박진전쟁기념관은 6.25전쟁 최후의 보루였던 박진전투 현장을 재현하여 민족 분단의 실상을 올바르게 인식하고 순국선열들의 호국 정신을 계승 발전시키고자 건립한 기념관이다.박진지역은 부산을 점령하기 위해 낙동강을 도하하여 최후의 발악을 하던 북한군과 미군이 2주간 사투를 벌였던 격전지이다. 박진지구전투의 승리로 인해 전세가 역전된 국군과 유엔군이 낙동강을 건너 반격하게 되었으며, 인천상륙작전의 성공과 함께 압록강까지 진격할 수 있는 결정적 계기가 된 한국전쟁사에 길이 빛날 중요한 전적지이다. 박진전쟁기념관에서는 6.25전쟁 및.. 더보기
[강원도 양구군] 양구선사박물관 양구선사박물관 - 홈페이지 http://www.ygpm.or.kr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양구군 양구읍 금강산로 439-52한국 최초의 선사시대 전문 박물관으로 선사시대의 생활 모습을 직접 체험하며 관람할 수 있다. 박물관 외관은 선사시대의 수혈주거지를 나타내고 있으며, 5개의 전시관과 2개의 야외 고인돌공원이 있어 시대별로 유물을 관람할 수 있다. 파로호 상류인 하리의 고인돌 공원에 위치하고 있으며, 양구읍 상무룡리 출토 구석기시대 유물과 해안면 현리 출토 신석기, 청동기시대 유물을 중심으로 양구지역에서 출토된 구, 신석기 및 청동기시대 유물 654점을 전시하고 있다. 지난 1987년 평화의 댐 건설공사로 파로호 물을 빼냄에 따라 양구읍 상무룡 등지에서 대규모로 출토된 양구 지역의 선사유물은 현재 국립.. 더보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