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시설 썸네일형 리스트형 [서울 서대문구] 김옥길기념관 김옥길기념관 - 주소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연대동문길 47-6 (대신동)서울 서대문구 대신동에 있는 전 이화여자대학교 총장 김옥길(1990년 작고) 여사를 추모하기 위해 세운 기념관이다. 김옥길 여사의 동생인 연세대 명예교수 김동길 박사가 건축가 김인로 씨에게 의뢰해 김옥길 여사의 생가 자리에 1999년 4월 건립됐다. 대지면적 371.9㎡, 건축면적 62.64㎡, 연면적 212.69㎡ 규모의 2층 건물이며 현재 1층엔 이화상점·카페를 운영 중이다. 1998년 한국건축문화대상을 받은 건축물로 이화여대 및 연세대 주변 방문객들에게 사랑받는 곳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2-392-2622 - 쉬는날 매주 토요일, 일요일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08:30~17.. 더보기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박물관 한림박물관 - 홈페이지 http://traditional-art.co.kr/ -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한림면 김해대로 1029-20김해 한림면에 위치한 사립박물관으로, 과거 농민들의 생활사를 살펴볼 수 있는 귀중한 민속품들이 전시되어 있으며 다양한 현대 문화예술작가들의 전시 또한 꾸준히 개최되는 곳이다. 2층 규모의 건물로 1층은 복합 전시공간으로 현대 예술가들의 작품을 둘러볼 수 있고 2층은 조상들의 다양한 유물과 전통문화, 예술작품, 민속품이 전시되어 있다. 또한, 공룡 열대식물원이 있어 공룡과 함께 파파야 열매, 커피나무 등 여러 종류의 열대식물 관람이 가능하다. 김해의 대표적인 복합 문화공간으로서 자연과 예술, 역사, 전통문화가 공존하는 곳이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55-345-10.. 더보기 [강원도 횡성군] 한국통나무학교 한국통나무학교 - 홈페이지 www.logschool.net - 주소 강원특별자치도 횡성군 강림면 월안길 88한국 통나무 학교는 캐나다의 B. ALLAN MACKIE 선생님께서 1970년에 설립하신 세계 최초의 통나무 학교의 한국 분교이다. 통나무학교 내에는 모든 건물, 심지어 개집까지 통나무로 되어 있어 다양한 통나무집 전시장을 둘러보는 것보다 훨씬 생동감 있는 견학을 할 수 있다. 단, 교육이 실시되고 있을 때에는 교육에 지장이 있어 견학이 곤란하므로 미리 전화로 방문일자를 확인하는 것이 좋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10-9863-0424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입 장 료무료 (체험비 별도)◎ 주위 관광 정보⊙ 천문인 마을 - 홈페이지 http://www.ast.. 더보기 [경상남도 김해시] 국립김해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 홈페이지 http://gimhae.museum.go.kr - 주소 경상남도 김해시 가야의길 1901998년 7월 29일, 국립김해박물관은 고대국가의 하나인 가야(加耶)의 문화유산을 집대성하기 위해 개관하였다. 가야의 건국설화(建國說話)가 깃든 김해시 구지봉(龜旨峰) 기슭에 자리 잡은 국립김해박물관은 가야의 문화재를 집약 전시하고 있으며, 아울러 부산·경남지역의 선사시대의 문화상과 가야의 성장 기반이 된 변한(弁韓)의 문화유산을 전시하고 있다.건물 전체를 검은 벽돌로 외장 하여 철광석과 숯의 이미지로 철의 왕국 가야를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전시Ⅰ실과 전시Ⅱ실로 나뉘어 있는데, 전시Ⅰ실에는 울산 검단리 마을유적과 창원 다호리 1호 무덤의 모형이 있고, 가야 문화의 기반이 되는 선사시대와 .. 더보기 [서울 용산구] 민주화운동기념관 민주화운동기념관 - 홈페이지 https://www.kdemo.or.kr/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강대로71길 37 (갈월동)민주화운동기념관은 서울 용산구 남영동에 있었던 공권력의 고문시설 치안본부(경찰청의 전신) 남영동 대공분시를 보존하고, 전시와 교육 시설을 더하여 아픔을 기억하며 희망으로 미래를 열어가는 기념시설이다. 2001년 6월 28일 민주화운동의 정신을 기념하고 계승하기 위해 민주화운동기념사업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행정안전부 산하 공공기관은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과 시민 사회의 힘으로 민주인권기념관을 건립한다. 민주주의를 이끌어 낸 민주화운동을 기념하고 기억하는 공간이자, 민주주의와 민주인권을 교육하고 세계와 연대하는 공간이 될 것이다. 이 건물은 건축의 대가인 김수근 씨에 의해 1976년 1.. 더보기 [전라남도 해남군] 강강술래 전수관 강강술래 전수관 - 주소 전라남도 해남군 문내면 관광레저로 12(사)해남우수영강강술래 진흥보존회는 지난 2022년에 설립된 예슬 단체이다. 이 단체에서는 강강술래전수관을 건립하여 국가무형유산인 강강술래와 전라남도 무형유산인 우수영부녀농요를 보전·전수하는 것은 물론,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강강술래 전수자의 전수를 받은 이수자가 조교가 되고 문화재가 되는 자격까지 전수교육 활동을 진행함으로써 후대에 전통을 잇기 위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매년 9월에서 10월에 전라남도 주최로 진도 녹진관광지와 해남 우수영관광지에서 열리는 명량대첩축제 때 전국 강강술래 경연대회를 열어 전통문화에 대한 국민의 인식과 관심을 높이고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61-533-8810 .. 더보기 [서울 종로구] 세계장신구박물관 세계장신구박물관 - 홈페이지 http://www.wjm.or.kr/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북촌로5나길 2 (화동)2004년에 개관한 세계장신구박물관은 2013년에 프랑스의 루브르 박물관, 미국의 메트로 폴리탄 뮤지움과 함께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10대 박물관’, 2015년에는 미국의 스미소니언 박물관, 영국 왕실박물관과 함께 ‘죽기 전에 봐야 할 세계 5대 보석박물관’으로 선정되었다.경복궁의 숨소리가 들리는 북촌 심장부에 위치한 세계장신구박물관은 시인이자 수필가인 이강원 관장이 외교관의 아내로 세계 곳곳에서 수집한 전통 장신구 1,000여 점이 둥지를 틀고 있는 곳이다.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보기 힘든 장신구의 집결지라는 의미 외에도 독특하고 아름다운 건물과 전시기법으로 ‘서울의 장신구’ 란 애칭.. 더보기 [서울 종로구] 인미공(구 인사미술공간) 인미공(구 인사미술공간) - 홈페이지 https://www.arko.or.kr/insa/ - 주소 서울특별시 종로구 창덕궁길 89 (원서동)2000년도에 개관하여 창의적 미술 언어의 생산자들을 위한 대안적 성격의 공공기관으로 자리매김한 인미공(구 인사미술공간)은 여러 차례 운영 체제의 변화를 겪으면서, 한국 동시대 미술 현장의 역량 있는 신진 작가와 기획자들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 및 전시를 기획해 왔다. 현재 아르코미술관이 통합 관리하는 인미공은 2020년도에 20주년을 맞아 다학제적 예술활동을 지원하는 인미공 창작소와 신진 기획자·작가를 위한 워크샵 등을 중심으로 프로그램을 개편하였다.아르코미술관과 인미공은 2021년도 이후 유용·포용·협업·공유의 새로운 운영 전략 하에 연구·창작·전시·교류 활동이 .. 더보기 이전 1 ··· 65 66 67 68 69 70 71 ··· 1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