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서울

[서울 용산구] 숙명여자대학교 정영양자수박물관

반응형

숙명여자대학교 정영양자수박물관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길 99 (청파동3가) 르네상스플라자 1층

숙명여자대학교 정영양자수박물관은 자수 및 직물 예술의 평가와 인식을 높이기 위해 전시관, 도서관, 염색보존처리실, 강의실, 정보센터 등의 전시·교육·연구시설을 갖추고 2004년 5월에 개관하였다. 지리적 특징을 나타내는 다양한 자수 및 직물과 동아시아의 장식예술에 초점을 맞춘 동아시아의 복식을 소장하고 있다. 지속적으로 발전하는 예술의 형태로서 자수의 위치를 강조하고 기술, 사회, 문화적 환경 속에서 발생되는 자수직물의 고찰을 장려하는 것과 교육센터로서 자수 및 직물예술의 연구를 선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2-710-9134

- 쉬는날
매주 토요일~일요일 / 법정공휴일 / 숙명여대 창학기념일(5월 22일)

- 신용카드가능정보
없음

- 유모차대여정보
없음

- 이용시간
10:00~17:00

- 이용요금
무료

- 주차시설
가능

- 주차요금
- 30분 2,000원 / 초과 시 10분마다 600원
- 2시간 초과 시 10분당 1,000원





◎ 소장품현황
섬유 및 공예, 회화 유물 약 900여 점 소장



◎ 한국어 안내서비스








◎ 주위 관광 정보

⊙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


- 홈페이지
https://home.sookmyung.ac.kr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길 100

숙명여자대학교 박물관은 종합박물관으로서 매년 다양한 상설전, 기획전, 특별전을 통해 관람객에게 전통과 현대를 어우르는 다양한 문화를 소개하고 있으며, 외국 대사관 및 작가들과의 연합, 기획전을 통해 해외의 다양한 문화를 국내에 소개하고 우리의 문화를 세계에 알리고 있다. 도슨트와 함께 관람을 원하는 경우 전화나 이메일로 예약하면 시간조정을 통해 원활한 전시 관람을 할 수 있다. 또한 박물관 청소년 교육센터에서는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진행하여 박물관 교육을 선도하고 있다. 인근에 숙명여자대학교 정영양자수박물관과 식민지역사박물관도 있어 방문이 용이하다.

⊙ 식민지역사박물관


- 홈페이지
식민지역사박물관 http://historymuseum.or.kr/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다길 27 (청파동2가)

식민지역사박물관은 일본제국주의 침탈의 역사와 그에 부역한 친일파의 죄상, 빛나는 항일투쟁의 역사를 기록하고 전시하는 최초의 일제강점기 전문 역사박물관이다. 이 소중한 역사문화공간은 해외동포를 포함한 수많은 시민들의 성금과 기증자료에 힘입어 마련되었다. 이곳은 총 5층 건물로 1층은 전시, 뮤지엄숍, 이벤트홀 등 복합문화공간이고 2층은 기록영상을 관람할 수 있고 식민지 생활상 체험을 할 수 있는 곳이다. 3층은 민족문제연구소와 4층은 자료실, 5층은 강의실로 사용한다. 또한 옥상에는 남산과 용산 일대를 조망할 수 있는 전망대와 잠시 휴식을 취할 수 있는 휴게공간이 있다.

⊙ 청파맨션


- 청파맨션
02-706-9093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47나길 20

전문 바리스타가 로스팅한 커피를 맛 볼수 있다. 서울특별시 용산구에 있는 카페다. 대표메뉴는 아메리카노다.

⊙ 이봉창의사동상


- 홈페이지
http://mfis.mpva.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177-18 (효창동)

효창공원 안에 있는 이봉창의사동상은 의사의 숭고한 애국심과 희생정신을 기리고자 동아일보사의 후원을 받아 건립한 동상이다.
이봉창 의사는 서울 용산 문창보통학교 졸업 후 용산역 전철수로 일하다 한국인에 대한 차별 대우에 저항하여 사직하고 일본에 건너가 노동에 종사하며 일인 생활을 익혔다. 1931년 상하이로 건너가 김구 선생과 함께 일본 천황 폭살 계획을 세워 1932년 1월 8일 도쿄 요요키 연병장에서 관병식을 마치고 돌아가는 히로히토를 겨냥하여 사쿠라다문에서 수류탄을 던졌으나 실패하고 현장에서 체포되었다. 그해 9월 의사는 일본 법정에서 사형선고를 받아 이치가야 형무소에서 교수형을 받고 순국하였다.
효창공원에는 의열사 등 대한민국의 독립을 위해 힘써주신 분들을 위한 공간이 있으니 함께 둘러보면 좋다. 수도권 지하철 6호선 효창공원앞역에서 하차하면 된다.

⊙ 서울 효창공원

- 홈페이지
https://www.hyochangpark.com/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177-18 (효창동)

1989년 사적 제330호 지정된 서울 효창공원은 국가지정 문화재로 조국의 독립을 위해 몸 바친 애국지사들의 유해를 모시는 곳이다. 이곳은 원래 조선 후기 정조의 맏아들 문효세자를 비롯하여 그의 어머니 의빈 성씨, 순조의 후궁인 숙의 박씨, 숙의 박씨의 자녀인 영온공주의 무덤인 효창원이 있던 자리이다.
청일전쟁 때 일본군이 불법으로 주둔하면서 훼손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는 골프장이 들어서는 등 공원화되었다. 1940년에 조선총독부가 공원으로 고시한 이후 1944년에는 일제의 침략전쟁에서 전사한 군인들을 위해 충령탑을 건립한다며 무덤들을 고양시에 있는 서삼릉으로 옮겼다.
광복 이후 대한민국 임시정부 주석인 백범 김수 선생이 항일투쟁에 목숨을 바친 이봉창, 윤봉길, 백정기 삼의사의 유해를 모셨고, 안중근 의사의 가묘를 이곳에 썼다. 이어 1948년에는 임시정부 의장과 주석을 지낸 이동녕, 국무원비서장 차리석, 군무부장 조성환을 이곳에 모셨다. 1949년에 돌아가신 김구 선생의 유해도 국민장으로 안장하였다.
1990년에 의열사를 세우고 매년 이곳에서 독립운동가들의 넋을 기리는 합동추모제를 지낸다.

⊙ 김세중미술관


- 홈페이지
http://www.kimsechoong.com/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70길 35 (효창동)

김세중미술관은 해방 후 제1세대 조각가로서 한국 현대조각을 개척하고 한국 미술의 발전에 기여한 조각가 김세중의 치열했던 삶과 예술혼을 기리고자 설립되었다.
정식 등록인가를 받은 사립미술관으로서 유명 원로 작가들의 전시와 유망한 청년, 장년 미술가들을 발굴하고 전시를 통해 소개하는 공간이다. 또한, 사회를 향해 열려있는 미술관으로서 미술을 사랑하는 지역 주민들과 모든 시민들에게 미술과 예술의 기쁨을 맛보게 하는 곳이다.
조각가 김세중과 시인 김남조 부부가 거주하던 자택을 리모델링하여 처음 개관하였고, 2015년 [예술의 기쁨]으로, 2017년 [김세중미술관]으로 정식인가를 받았다.
2개의 전시실과 야외조각실, 세미나실, 카페공간을 갖추고 있다. 미술관 중앙에는 수백년 된 상수리 나무가 자리잡고 있는데 기존 자택에 있던 나무를 그대로 살려 아름다운 풍경을 만들어냈다.

⊙ 의열사(용산)


- 홈페이지
http://mfis.mpva.go.kr/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 177-18

의열사는 효창공원 내에 묘역이 있는 애국선열들의 영정을 모신 사당으로 대한민국임시정부 주석 김구, 임시정부 요인( 임정 의정원 초대의장 이동녕, 군무부장 조성환, 비서장 차이석), 3의사(이봉창ㆍ윤봉길ㆍ백정기 선생) 등 7인의 영정이 모셔져 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60주년인 1979년 4월 13일 합동추모제전을 봉행하고, 해마다 임시정부수립기념일에 연례적으로 제전을 봉행해오고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mtl 효창


- 홈페이지
https://www.mtl.co.kr/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효창원로69길 25 송원빌딩

MTL 효창 카페는 지하철 6호선 또는 경의 중앙선 효창공원앞역 1번 출구 인근에 있다, 주차는 매장 전면과 건물 후면에 주차할 수 있다. 건물 외관은 독특하고 화분과 대나무로 둘러싸여 있어 숲속 같은 분위기를 느낄 수 있다. 1층이지만 복층 같은 구조로 통창이 되어있고 외부 테라스도 있다. 내부는 좌석도 많고 벽면에 국내외 셀렉 제품과 자체브랜드, 서적 등을 판매하고 있어 구경하는 재미도 있다. 대표 메뉴는 보난자 커피로 유럽 5대 커피며 MTL에서 처음 소개한 커피라고 한다. 원두도 판매하고 있다. 스페셜 푸드 메뉴와 디저트, 비건 메뉴도 있다. 반려동물과 함께 입장할 수 있다. 카페 인근에 백범김구기념관, 효창공원, 전쟁기념관 등이 있어 연계 관광을 할 수 있다.
※반려동물 동반 가능

⊙ 쌍대포소금구이 본점


- 주소
서울특별시 용산구 청파로 291

쌍대포소금구이 본점은 4호선 숙대입구역 10번 출구 인근에 있다. 각종 매체에 맛집으로 소개되었고, 드라마와 영화의 촬영지이기도 하다. 주차공간이 협소해 대중교통을 이용하거나 인근 공영주차장을 이용해야 한다. 대표 메뉴는 특삼겹 너덜이 이고 일삼꼬들과 항정살, 한방껍데기도 인기 메뉴이다. 식사 메뉴로 차돌된장밥, 꽁치소면찌개 등 메뉴가 다양하게 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 용산구] 별책부록  (7) 2025.03.10
[서울 용산구] 국립중앙박물관  (0) 2025.03.10
[서울 영등포구] OPCI  (3) 2025.03.07
[서울 영등포구] 영등포문화원  (0) 2025.03.07
[서울 양천구] 신월음악도서관  (4) 2025.03.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