계양문화회관
- 홈페이지
http://gysiseol.or.kr/culturebuilding/
- 주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산로35번길 11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산로에 자리하고 있는 계양문화회관은 총 795석을 갖춘 공연장, 무대시설, 연습실, 생활문화센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 유수의 교향악단이 참여하는 클래식 공연부터 뮤지컬, 연극, 아트 공연까지 다양한 장르의 공연을 볼 수 있으며, 계양문화회관 소속의 악단 등 구민들이 참여하는 공연도 가까운 곳에서 관람할 수 있는 다양한 공간으로 활용되고 있다. 이 밖에도 댄스스포츠, 웰빙댄스, 한국무용, 서예 교실, 바리스타 등 다양한 강좌도 함께 운영하고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 소개 정보
- 문의및안내
032-551-6602
- 쉬는날
※ 공연에 따라 상이하므로 홈페이지 참조
- 이용시간
- 공연장 09:00~22:00
- 생활문화센터 10:00~17:00
※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참조
- 이용요금
※ 공연에 따라 상이하므로 홈페이지 참조
- 주차시설
가능
◎ 주위 관광 정보
⊙ 가든파티 계양점
- 홈페이지
http://borigolfood.com
- 주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경명대로 977
가든파티 계양점은 계양산 입구 계양문화회관, 계양산장미원 인근에 있다. 버스나 지하철 등의 대중교통 이용도 편리하고 주차장이 넓어 자가용 이용도 편리하다. 매장 내부는 넓고 깔끔하며 테이블도 많다. 넓은 개별 룸도 있어 상견례, 돌잔치 등 가족 모임 하기에 좋아 이용객이 많다. 주말에는 예약 후 이용하면 더 편리하다. 대표 메뉴로는 돼지양념구이, 한돈양념구이, 가든양념갈비, 왕양념갈비, 명품생갈비, 양념구이정식 등이 있다. 이외에도 육회비빔밥, 갈비탕, 코다리냉면 등이 있다. 인근에 계양산산림욕장, 계양공원, 용종음식문화시범거리, 인천나비공원 등이 있어 산책하며 둘러보기 좋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계양산장미원
- 홈페이지
itour.incheon.go.kr
- 주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경명대로955번길 18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 계양산 일대에 조성된 대규모 장미 공원으로 면적 4,667㎡에 장미 67종 11,366주와 금낭화 등 야생화도 13종 12,000여 본에 달하는 꽃을 심어 놓았다. 벽천분수와 물레방아, 원두막과 수로 등 시설물도 다양하게 설치하여 여유 있게 산책하면서 마음껏 꽃밭을 감상할 수 있도록 마련하였다. 입구에 51면을 갖춘 주차장이 있고 대중 버스와의 연결도 수월하다.
⊙ 누룩골 계양점
- 홈페이지
http://borigolfood.com
- 주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경명대로 954
누룩골 계양점은 인천 계양구 경명대로 954에 있다. 이곳은 단독 건물에 넓은 앞마당 주차장이 있어 방문 시 자동차를 이용하는 게 편리하다. 계양구청에서 선정한 맛집, 한국 방문의 해 위원회 선정 식당환대 업소, 농림축산식품 제공 안심식당까지 인증받은 곳이다. 매장 안으로 들어서면 넓은 홀과 많은 테이블이 보인다. 테이블 간격에 여유가 있고 파티션이 놓여있어 각종 단체 행사나 가족 모임에 적합하다. 높은 천장에 조명까지 실내장식이 되어 있어 음식 컬러가 살아난다. 대표 메뉴로 누룽지백숙(토종닭), 백숙탕(능이버섯+토종닭)이 있고 그 외 메뉴로 능이회, 해물파전, 막국수, 도토리묵무침 등이 있다. 주변에 계양산 산림욕장이 있어 둘러보기 좋다.
⊙ 봉일사지삼층석탑
- 홈페이지
https://itour.incheon.go.kr
- 주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산로75번길 7-13 (계산동)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에 있는 봉일사지삼층석탑은 고려 말이나 조선 초기의 것으로 추정되는 3층 석탑이다. 계양산로를 따라 올라가다 보면 경인여대 건물 옆으로 백룡사가 자리 잡고 있다. 동국흥지승람과 부평읍지 기록에 의하면 봉일사가 보수, 개축하며 백룡사로 창건되었다고 전해진다. 봉일사지삼층석탑은 봉일사에 있던 것을 백룡사가 세워지면서 백룡사 경내로 옮겨졌다.
1층과 3층은 옥개석만, 2층은 옥신과 옥개석만 남아있어서 나머지 분실된 것들을 보완하여 오늘날에 이르렀다. 비록 탑신부 일부가 소실되기는 했으나, 인천 지역에서 원위치에 남아있는 유일한 탑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
⊙ 지선사
- 주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경명대로955번길 13-12 (계산동)
지선사는 원래 백룡사 터에 자리하고 있었으나, 1988년 4월에 지금의 계양산 자락으로 이전하여 새롭게 중창되었다. 대한불교 조계종에 속한 사찰로, 도심과 가까운 위치에 있어 지역 주민들과 등산객들이 자주 찾는 기도도량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지선사의 본당에는 지장보살님 500분이 봉안되어 있어, 특히 지장기도를 올리려는 이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이는 불교 신자들에게 깊은 위로와 공덕을 안겨주는 공간으로, 사찰 특유의 정갈하고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마음을 다스리고 기도하는 장소로 각광받고 있다. 또한, 2022년 9월에는 경내에 약사여래불상이 새롭게 세워져, 병고와 고통에서 벗어나기를 바라는 많은 신도들에게 큰 신앙의 상징이 되었다. 사찰이 위치한 계양산 자락은 자연경관이 아름다워 사찰의 고즈넉한 분위기와 조화를 이루며, 명상과 휴식을 동시에 누릴 수 있는 장소로 사랑받고 있다. 이처럼 지선사는 전통과 현대의 조화를 이루며, 도시민들에게 정신적 안식처이자 수행 공간으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 금강산흑염소전문점
- 주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경명대로 942 (계산동)
금강산흑염소전문점은 인천 지하철 1호선 계산역 3번 출구에서 계양산 징매이고개생태터널 방향에 있다. 도심 외곽 대로변 산자락에 있어 대중교통보다는 자가용을 이용하는 편이 좋다. 산자락 입구 공터에 주차하고 옆 쪽문으로 들어가면 작은 호수가 있고 가게 입구가 있다. 매장 내부는 좌식과 입식이 있다. 대표 메뉴로는 염소 수육, 염소 전골, 염소 무침, 염소탕이다. 흑염소 엑기스는 별도로 판매하고 있다. 매장 내부에는 흑염소의 효능에 대해서도 잘 안내하고 있다. 인근에 계양도시자연공원, 아나지공원, 계양산산림욕장, 계양공원이 있어 가벼운 산책 및 등산하기에 좋다.
⊙ 계양공원
- 홈페이지
https://www.incheon.go.kr/park/index
- 주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양산로75번길 26 계양공원관리소
인천광역시 계양산 자락에 있는 계양공원은 규모가 큰 산지형 공원으로 휴게시설, 체육시설 등 다양한 편익시설이 마련되어 있으며, 특히, 장미원은 36종 11,360주의 장미가 식재되어 있어 봄철 명소로 자리 잡고 있다. 아울러, 인천의 대표적인 계양산과 계양공원 산책로가 연결되어 도심에서 자연을 느끼고자 하는 시민들에게 많은 사랑을 받고 있는 공원이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계양산
- 홈페이지
https://www.gyeyang.go.kr
- 주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목상동 산 57-1
해발 395m의 계양산은 강화도를 제외한 인천광역시에서 가장 높은 산이다. 산에 계수나무와 회양목이 자생하여 계양산이라는 지명이 생겼다고 전해진다. 수도권 반나절 산행으로 적당하고 초보 등산객도 쉽게 오를 수 있어 많은 등산객이 찾는다. 인천지하철 1호선 계산역과 등산로 입구가 가까워 대중교통으로 접근하기가 수월하다는 장점도 있다. 등산로는 총 9가지 코스가 있는데, 짧게는 50여 분부터 길어도 2시간 남짓이 걸린다. 주로 연무정에서 산행을 시작하여 팔각정을 거쳐 산 정상에 올랐다가 남쪽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타고 하산하는 경우가 많다. 다만 주 능선 등산로에 그늘이 없어 여름보다는 봄, 가을철 산행지로 알맞다. 임학공원과 계양산성을 잇는 계양산 무장애길을 이용하면 장애인과 노약자도 쉽게 산을 오를 수 있다. 계양산은 등산과 역사 탐방을 동시에 할 수 있는 산이기도 하다. 삼국시대에 축조되어 조선 시대까지 사용된 계양산성, 고려 시대 학자 이규보가 머물던 자오당터와 초정지, 봉월사터, 봉화대의 유적지 등 흥미로운 볼거리가 다양하다. 산 정상에 오르면 동쪽으로 김포공항을 비롯한 서울특별시 전경이, 서쪽으로는 영종도와 강화도 등 주변 섬이 한눈에 들어찬다.
⊙ 부평향교
- 홈페이지
▪ http://www.gyeyang.go.kr
▪ http://www.cha.go.kr
- 주소
인천광역시 계양구 향교로 19 (계산동)
인천광역시 계양구 계산동에 있는 향교. 향교는 성현의 위패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며 지방 백성의 교육을 담당하기 위해 국가에서 세운 교육기관이다. 부평향교는 1990년 11월 9일 인천광역시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어 인천광역시 향교재단에서 관리하고 있다. 계양산 아래에 향교가 처음 설치된 것은 고려 인종 5년(1127)이다. 이것이 조선 시대까지 이어지다가 인조 14년(1636) 병자호란으로 건물이 소실되자 난 이후에 재건하였다. 현재의 건물은 18세기 이후에 세워진 것으로 그 후에도 여러 차례 개수와 보수가 이루어졌다.
부평향교에는 명륜당, 재실 등 교육 시설을 앞에 놓고 그 뒤에 대성전과 동무, 서무의 문묘시설을 둔 우리나라 향교의 전형적인 전당후묘의 방식을 따르고 있다. 명륜당은 학생들을 상대로 강학이 이루어지던 곳이고, 재실은 유학생들이 기숙하던 곳이며, 대성전은 공자를 위시한 중국의 성현들을 배향(학덕이 있는 사람의 신주를 문묘나 서원 따위에 모시는 일) 하던 곳이다. 동무와 서무에는 한국의 성현을 배향하는데, 이곳에는 최치원 등 역대 유생이 배향되었다.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인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천 남동구] 기차왕국박물관카페 (2) | 2025.09.12 |
---|---|
[인천 연수구] 해돋이도서관 (5) | 2025.09.12 |
[인천 중구] 인천학생과학관 (0) | 2025.09.12 |
[인천 강화군] 아트팩토리 참기름 (1) | 2025.09.10 |
[인천 강화군] 강화전쟁박물관 (1) | 2025.09.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