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종

[세종 세종특별자치시] 연기향토박물관

반응형

연기향토박물관


- 홈페이지
http://cafe.daum.net/yghmuseum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양대길 34-4

연기향토박물관은 세종특별자치 시내 출토유물, 전래유물을 모아 만든 박물관으로 1996년 8월 14일 개관했다. 박물관에서는 연기군의 역사, 문화를 살펴볼 수 있는 자료를 전시하고 있으며, 특히 세종특별자치 시내의 도요지에서 출토된 자료가 많고 선사 유물, 삼국, 고려, 조선, 일제강점기, 근대 유물을 전시하고 있다. 전시유물은 불상, 무기(화살·창), 오 층 석탑, 토기, 청자, 분청사기, 청동, 백자, 기와, 민화, 상소문, 목판, 책, 소방 기구, 가구, 농사 관련 각종 기구, 나무로 만든 쥐덫 등 총 1,000여 점이다. 유물 외에 민속놀이 기구와 지명의 유래, 전설, 설화, 민속 등에 관한 기록도 전시되어 있어 지역의 역사를 아는 데 도움이 된다.

 


※ 소개 정보
- 관람소요시간
약 1시간

- 문의및안내
044-862-7449

- 쉬는날
연중무휴

- 이용시간
09:00~18:00

- 이용요금
[개인]
- 성인 3,000원
- 어린이, 청소년 2,000원
[단체]
- 성인 2,500원
- 어린이, 청소년 1,500원
※ 자세한 사항은 홈페이지 참고

- 주차시설
가능





◎ 체험프로그램
전통놀이 / 다례예절 / 전통예절 / 솟대 만들기 / 한지공예 등





세종_연기향토박물관 (2)세종_연기향토박물관 (3)세종_연기향토박물관 (4)세종_연기향토박물관 (5)세종_연기향토박물관 (7)세종_연기향토박물관 (8)세종_연기향토박물관 (9)세종_연기향토박물관 (1)





◎ 주위 관광 정보

⊙ 쌍류포도정원협동조합


- 전화번호
010-8374-0191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쌍류송암길 76-36

쌍류포도정원협동조합은 세종특별자치시의 마을기업으로, 세종 연서면 쌍류리의 포도나무정원 농촌체험장과 과수농가들이 주축이 되어 조합을 결성하였다. 계절별 농산물과 자연환경을 테마로 다양한 농촌체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고, 고령화된 마을주민의 일자리와 소득창출을 위해 노력하는 마을공동체이다. 다양한 농촌 체험을 할 수 있고, 가족 단위의 팜파티나 발표회, 연주회 같은 각종 행사를 즐길 수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 도가네매운탕(도가네)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도신고복로 585

도가네매운탕은 세종시 연서면 용암리에 자리 잡고 있다. 1980년대 초반부터 2대째 운영하는 전통이 있는 매운탕 전문점이다. 대표 메뉴는 국내산 양식 메기를 사용한 메기 매운탕이다. 양파와 다진 마늘을 가득 넣어 비린 맛을 잡았다. 이 밖에 참게 매운탕을 판다. 오전 10시 30분에 문을 열고 오후 8시 30분에 영업을 마감한다. 음식점 주변에는 고복저수지가 있다.

⊙ 제주도화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jejudohwa/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와룡로 606

제주도화는 세종 고복저수지에 위치한 작은 제주도이다. 카페 입구의 돌담부터 제주도를 연상케 하는 이곳은 제주도의 아름다운 자연경관과 독특한 문화를 즐기며 커피를 즐길 수 있는 공간이다. 전통적인 제주도의 가치와 현대적인 감각을 조화롭게 반영한 분위기를 자랑한다. 인테리어와 음악, 메뉴 등을 통해 제주도의 다채로운 문화와 역사를 느낄 수 있다. 이를 통해 이곳을 방문하는 손님들은 제주도의 다양한 면모를 만날 수 있다. 또한, 제주도화는 지역 주민들과 관광객들에게 휴식과 즐거움을 제공하는 공간으로 자리 잡고 있다. 제주 특산물을 활용한 디저트나 음료를 제공하여 고객들에게 특별한 경험을 제공한다.

⊙ 연기대첩비공원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도신고복로 586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고복저수지시립공원 안에 위치한 공원으로, 연기대첩을 기념하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조성되었다. 1997년 고복저수지 상류에 높이 10m의 연기대첩비가 건립되었으며, 그 주변 지역이 공원으로 꾸며졌다. 연기대첩은 1291년(고려 충렬왕 17년) 원나라 반란군 합단적을 한희유, 인후, 김흔 등이 지금의 정좌산에서 격파한 전투로, 고려사·고려사절요·동국여지승람 등에 기록된 고려 7대 대첩 중 하나이다. 공원에는 대첩비 외에도 급수대, 시범 화장실, 주차장, 놀이시설, 파고라, 잔디광장 등의 편의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가족 단위 관광객들이 자주 찾는 지역 명소이다.

⊙ 고복자연공원

- 홈페이지
https://www.sejong.go.kr/tour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도신고복로 586

고복자연공원은 오봉산의 자연림, 동굴, 사찰, 야외조각 전시장 등이 있으며, 수변길이 조성되어 있다. 주변 마을에는 포도, 복숭아, 배를 재배하는 과수 단지가 있다. 공원 변에 광장과 이화여대 미술대 강태성 교수가 조성한 야외조각 공원이 있어 방문객들에게 또 하나의 볼거리를 제공해 주고 있다. 특히, 야외수영장이 개장하는 여름방학 시기에 많은 사람들이 찾아온다. 중간지점에 있는 ‘민락정’에서 내려다보는 경관이 일품이며, 벚꽃 필 무렵의 고복 자연공원은 아는 사람만 아는 숨겨진 명소이다. 고복 자연공원 주변에는 갈비, 한방오리와 메기매운탕을 전문으로 하는 음식점 등이 산재해 있어 미식가들의 입맛을 돋워 주며, 수변 전망이 가능한 카페들이 있어 휴식공간을 제공해 준다.

⊙ 리틀그레이프

- 홈페이지
https://www.instagram.com/cafe_littlegrape/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연서면 도신고복로 (605)

리틀그레이프는 보라색, 자연, 포도를 키워드로 세종시에는 볼 수 없는 미국 하이틴 콘셉트를 인테리어로 한 카페이다. 바로 앞에 고복저수지가 있어 시원시원한 뷰를 선사한다. 카페 내부가 넓고 야외공간도 있어 원하는 곳에서 리틀그레이프만의 분위기를 즐기기 좋다. 이곳에서만 맛볼 수 있는 시그니처 메뉴는 비주얼만큼이나 맛도 좋다. 보라색 인테리어와 보라색 식기, 보라색 디저트까지 온통 보라색이다. 리틀그레이프는 보라색을 좋아하는 보라덕후들에게 소문난 포토존 맛집으로 유명하다.

⊙ 용암골가든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연서면 도신고복로 613-2

용암골가든은 고복저수지와 연이어 자리 잡고 있다. 이 덕분에 식사를 전후로 고복저수지 산책로를 따라 걸을 수 있다. 이 음식점은 KBS 생생정보통 등 여러 방송에 출연한 맛집이다. 대표 메뉴는 참숯 향이 은은하게 밴 돼지갈비다. 이 밖에 곁들여 먹기 좋은 냉면과 동치미국수도 맛볼 수 있다.

⊙ 비암사 도깨비도로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비암사길 137 비암사

세종특별자치시에 위치한 비암사 도깨비 도로는 내리막 길이지만 마치 올라가는 것과 같은 착시현상을 일으키는 구간을 말한다. 비암사로 올라가는 약 1.3㎞ 중간지점쯤 약 150m 구간이 해당된다. 도깨비 도로의 시작과 끝을 알리는 안내판이 세워져 있어 호기심 많은 관광객은 한 번쯤 시험해보기도 한다.

⊙ 비암사(세종)


- 홈페이지
http://cafe.daum.net/bas0230

- 주소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비암사길 137 (전의면)

전통 사찰 비암사는 통일신라 말기 도선국사가 창건한 사찰이라고 하나 확실한 연혁은 알 수 없다. 비암사에서 발견된 국보 계유명 전 씨 아미타불비상, 보물 기축명아미타불비상, 미륵보살반가사유비상은 국립청주박물관에 보관 중이고 1657년에 복원된 비암사 극락보전 내 닫집은 그 제작 수법이 교묘하고 화려하여 새롭게 보물로 지정되었다. 이처럼 세종시에서 출토된 문화유산의 절반이 비암사에서 출토되었다고 하니 비암사는 세종시의 대표적인 역사 문화유산이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비암사에 있는 860년 된 느티나무 또한 볼거리이다. 농사가 근본이었던 옛날에 마을 사람들은 이 나무에 잎이 피어나는 모습을 보고 한 해 농사의 풍류를 점쳤다고 한다. 새봄에 잎이 나무 아래부터 돋아나면 흉년이 들고, 나무 위부터 피어나면 풍년이 든다고 여겼다고 한다. 나무 앞 아니 오신 듯 다녀가시옵소서라는 글귀가 인상적이다. 비암사 주차장에 차를 세운 뒤 바로 절로 올라가지 말고 화장실 뒤로 난 계단을 따라 산으로 조금만 올라가면 비암사를 한눈에 담을 수 있다. 주변이 숲에 쌓여있고 인적이 드물어 옛 산사의 풍취를 한껏 느낄 수 있다.

- 상세 보기 : 바로가기


본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에서 '25년'작성하여 공공누리 제1유형으로 개방한 '국문 관광정보 서비스'을 이용하였으며, 해당 저작물은 '한국관광공사,https://kto.visitkorea.or.kr/kor.kto'에서 무료로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